사료 형태, 영양 성분표, 어종·수층·입 크기, 급여 요령, 수질 관리까지 한 번에 끝내는 실전 가이드
1) 사료 선택 7가지 대원칙
① 어종·수층 맞춤
상층(구피·몰리)은 부상형, 하층(코리도라스·플레코)은 침강형이 편합니다. 중층(네온테트라 등)은 천천히 가라앉는 과립이 무난합니다.
② 입 크기 우선
사료 지름이 입보다 약간 작아야 삼키기 편합니다. 같은 어종이라도 개체·성장 단계가 다르면 입 크기도 달라집니다.
③ 원재료 3순위 규칙
성분표 첫 3가지 원재료에 어분·크릴·새우·스피룰리나 등 수산 단백이 들어가면 가산점. 곡물·전분이 과도하게 앞에 오면 감점.
④ 단백질·지방 밸런스
소형 잡식성 기준: 단백질 35~45%, 지방 5~10%가 무난. 초식 성향은 단백질을 약간 낮추고 섬유를 높입니다.
⑤ 물에 오래 버티는지
형태가 쉽게 풀어지면 수질이 나빠집니다. 방출 속도가 안정적인 펠릿/과립을 고려해보세요.
⑥ 순환 급여
주식 1 + 보조 1~2를 로테이션하면 편식 방지·영양 균형에 유리합니다.
⑦ 신선도
유통기한·제조일 표기 확인, 개봉 후 3~6개월 내 소진 권장. 건조제를 넣고 밀폐·서늘하게 보관하세요.
2) 사료 형태별 장단점 비교
형태 | 장점 | 단점 | 적합한 상황 |
---|---|---|---|
플레이크(Flake) | 상층어 급여 쉬움, 잘게 부숴 크기 조절 용이 | 물에 빨리 풀어져 탁도↑, 하층까지 도달 어려움 | 상층 소형군, 먹이 반응 유도 |
과립/펠릿(Pellet) | 영양 균일, 침강 속도 선택 가능, 잔여물 관리 용이 | 크기 맞춤 필요, 일부 개체가 처음엔 경계 | 대부분의 소형군·혼합 수조 |
웨이퍼/타블렛 | 하층어가 모여 천천히 섭취, 플레코·코리 전용 다수 | 상층·중층이 먼저 빼앗을 수 있음 | 야행성/하층어, 나무 섬유 필요 종 |
프리즈드라이(동결건조) | 자연 먹이 질감 유지, 보관 편리 | 단독 장기 급여 시 불균형 위험 | 간식·단기 컨디셔닝 |
냉동/생먹이 | 섭식 반응 우수, 발색/번식 보조 | 보관·위생 관리 필요, 기생충·오염 리스크 | 선별 급여(주 1~2회), 번식기 |
채소·조류 베이스 | 초식/잡식 어종에 섬유·비타민 공급 | 단백질 보충 병행 필요 | 플레코·구피·몰리·새우 등 |
3) 영양성분표 읽는 법(라벨 해석)
보장성분(Guaranteed Analysis)의 핵심 범위를 기억해 두면 선택이 빨라집니다. 아래는 소형 잡식성 열대어의 일반적인 가이드입니다(브랜드·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단백질
35~45% 권장. 성장·발색기에 상단으로, 유지기엔 중간값. 성분표의 첫 3재료가 해양/수산 원료면 좋습니다.
지방
5~10% 권장. 너무 높으면 비만·간 부담, 너무 낮으면 에너지 부족. 오메가3/6 균형 표기 가산점.
섬유 & 회분
섬유 2~8%, 회분은 과도하게 높지 않은지(미네랄 과다) 확인. 초식 성향은 섬유 상단.
- 미량원소: 칼슘/인 비율, 비타민 C·E 표기 여부 확인.
- 첨가제: 아스타잔틴/스피룰리나 등은 발색 보조에 도움.
- 알레르기·민감: 특정 원료(조개·갑각류 등)에 민감한 종은 성분을 꼼꼼히 보세요.
1) 첫 3원료에 수산 단백 포함? → 2) 단백질/지방 범위 적절? → 3) 침강/부상 형태 수층 맞춤? → 4) 포장 단위(신선도) 적절?
4) 어종·수층·입 크기에 맞추기
① 수층별
- 상층: 구피, 몰리, 제브라다니오 등 → 부상형 플레이크/부상 과립.
- 중층: 네온테트라, 라스보라 → 천천히 침강하는 미세 과립.
- 하층: 코리도라스, 플레코 → 침강 과립/웨이퍼, 야간 급여도 효과적.
② 특성별
- 베타: 표면 섭식 잘함. 부상·느린 침강 미세 과립 + 동결건조(간식) 병행.
- 금붕어: 장이 길어 곡물·섬유 소화에 비교적 강함. 침강형 위주로 공기 삼킴을 줄여 복부팽만 예방.
- 디스커스: 예민·고급종. 단백질·신선도에 민감 → 소량 자주, 위생 관리 철저.
- 새우: 단백질 과잉·구리 성분 주의. 식물성/조류 베이스 비중.
③ 입 크기 & 침강 속도 표
예상 체장 | 권장 과립 지름 | 침강 속도 |
---|---|---|
1.5~2cm 치어 | 0.3~0.5mm 크럼블/미세 | 매우 느림~느림 |
2~3.5cm 소형군 | 0.5~0.8mm | 느림~중간 |
3.5~5cm | 0.8~1.2mm | 중간 |
5cm 이상 | 1.2~2mm | 중간~빠름(종에 따라) |
5) 상황별 선택 가이드
치어
미세 과립·파우더 형태로 소량·다회 급여. 단백질 상단, 물갈이 주기 촘촘히.
성장기
단백질 40% 내외, 과도한 지방은 지양. 주식 + 동결건조/냉동으로 식욕·발육 보조.
발색·번식
아스타잔틴·스피룰리나 표기 사료를 보조로. 냉동/생먹이는 주 1~2회 제한 급여.
병후 회복
소화 잘 되는 소립 펠릿·비타민 강화, 수질 안정을 최우선으로.
6) 급여량·주기·스케줄
1분 규칙: 먹이를 넣은 뒤 1분 내 먹어치울 양을 기준으로 시작합니다. 남으면 다음 급여에서 10~20% 줄이세요.
주차 | 주식 | 보조 | 빈도(일) | 메모 |
---|---|---|---|---|
1주차 | 미세 과립(느린 침강) | 플레이크 소량 | 1~2회 | 먹이 반응·배설물 관찰 |
2주차 | 과립 | 동결건조 1회 | 1~2회 | 양 조절, 잔여물 즉시 제거 |
3주차 | 과립 | 채소/조류 보조 1회 | 1~2회 | 초식 성향 고려 |
4주차 | 과립 | 냉동 1회 | 1~2회 | 수질·질산염 주간 체크 |
7) 수질과 사료의 관계
과급여는 암모니아·아질산 스파이크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다음을 습관화하세요.
- 급여 15~20분 후 잔여물 제거(스포이드/수저망).
- 여과 박테리아가 자리잡기 전(새 수조)에는 반만 급여 원칙.
- 사료가 물에 쉽게 풀어지지 않는지 확인하고, 탁해지면 다른 형태로 교체.
- 주 1회 질산염(NO₃⁻) 체크, 필요 시 20~30% 부분 환수.
8) 초보자용 실전 장바구니 예시
주식(필수)
- 미세 과립(느린 침강) 0.5~0.8mm
- 침강 과립 1.0~1.2mm(하층/중형)
보조(선택)
- 플레이크(상층 반응 유도용)
- 동결건조 크릴/브라인슈림프(주 1회 간식)
- 조류·스피룰리나 웨이퍼(초식·하층)
관리 도구
- 스포이드/사이펀(잔여물 제거)
- 소형 사료집게·밀폐용기·건조제
- 수질 시험키트(암모니아/아질산/질산염)
보관 팁
대용량은 나누어 소분하고, 공기·습기 차단. 직사광선/고온 보관 금지.
9) 체크리스트 & 요약
- ✓ 내 어종의 수층과 입 크기를 파악했다.
- ✓ 성분표 첫 3원료에 수산 단백이 들어간다.
- ✓ 단백질/지방/섬유 범위가 맞다.
- ✓ 주식 1 + 보조 1~2로 로테이션한다.
- ✓ 1분 규칙으로 양을 조절한다.
- ✓ 잔여물 제거·정기 환수를 지킨다.
- ✓ 개봉 후 3~6개월 내 소진 계획이 있다.
10) 자주 묻는 질문(FAQ)
플레이크 vs 과립, 무엇이 더 좋나요?
정답은 “수조 구성에 따라 다름”입니다. 상층 위주·반응 유도는 플레이크, 잔여물 관리·균일 급여는 과립이 유리합니다. 초보자라면 과립을 주식으로 시작해 보세요.
하루 몇 번 주는 게 적당하죠?
성어 기준 하루 1~2회. 치어·성장기는 소량 다회가 안전합니다. 항상 1분 규칙을 적용하세요.
냉동·생먹이는 꼭 필요할까요?
필수는 아니지만 발색·번식·식욕 유도에 도움 됩니다. 위생 관리와 수질에 유의하며 주 1~2회로 제한하세요.
금붕어는 열대어 사료를 먹여도 되나요?
가능하지만 금붕어 전용처럼 섬유·소화 특성이 맞는 사료가 더 적합합니다. 특히 침강형을 권장합니다.
사료를 섞어 써도 될까요?
네, 로테이션은 편식 방지·영양 균형에 유리합니다. 다만 동일 급여에서 과도한 양 혼합은 과급여로 이어질 수 있으니 총량을 유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