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먼저 급여 중단, 강한 에어레이션, 염소중화제(디클로라미네이터) 투입.
- 30~50% 부분 환수를 1~2회 반복하되 온도·pH 급변을 피한다.
- 필터 박테리아 보존: 여과재는 수조물로 가볍게 헹군다. 비누·수돗물 X.
- 수치 확인: NH3/NH4+·NO2-·NO3-·pH·수온 테스트.
- 원인 제거: 사체·과급여·여과기 정지·독성물질 유입 여부를 즉시 점검.
1) 수질 악화의 신호
가능하면 암모니아·아질산은 0 mg/L, 질산은 40 mg/L 이하, 온도 변화 ±1~2℃ 유지가 안전선입니다. pH는 어종에 맞춰 급격한 변화를 피하세요.
2) 첫 10분: 즉시 할 일 체크리스트
- 급여 즉시 중단 — 사료는 가장 빠른 오염 원인입니다.
- 강한 에어레이션 가동 — 에어스톤 2개 이상이면 모두 켜고 수면 파동을 크게 만듭니다.
- 염소중화제 투입 — 클로라민 포함 중화 가능한 제품을 라벨 지시에 맞게 전체 수조 용량 기준으로 투입합니다.
- 사체/썩은 사료 즉시 제거 — 집게·사이펀으로 바닥 찌꺼기까지 최대한 제거.
- 여과기 동작 확인 — 임펠러 막힘·전원 차단 여부 체크. 꺼져있었다면 바로 재가동.
- 응급 측정 — 온도, pH, 암모니아, 아질산을 우선 측정하고 사진으로 기록.
팁: 열대어가 수면에서 헐떡이면 우선 산소 공급에 올인하세요. 이후 환수·중화·원인 제거 순서로 진행합니다.
3) 60분 안에: 확실한 안정화
- 30~50% 부분 환수 1차 — 수온을 맞춘 물(±1℃) + 염소중화제 선처리 후 투입.
- 바닥 사이펀 — 과급여 찌꺼기·배설물·사체 흔적을 집중 제거.
- 여과재는 수조물로만 가볍게 헹굼 — 박테리아 보존. 교체는 최소화.
- 활성탄/제올라이트 장착 — 약품·냄새·암모니아 완화에 임시 활용.
- 조명 시간 단축 — 조명은 절반 이하로. 광합성·조류 폭주를 억제.
- 재측정 & 기록 — 환수 후 수치를 다시 찍고 전후 비교.
4) 24시간: 안정 유지와 미세 조정
- 필요 시 2차 부분 환수(20~30%) — 수치가 여전히 높으면 추가.
- 급여 재개는 소량부터 — 하루 1회, 1~2분 내 완식 기준으로 서서히.
- 테스트 수치 추적 — 오전/저녁 2회 기록. 추세를 본다.
- 생체 관찰 — 지느러미 펴짐, 색상 회복, 활동성 체크.
암모니아·아질산이 0.2 mg/L 이상이면 먹이 중단을 지속하고 환수/중화제/제올라이트를 병행하세요.
5) 원인별 응급 해결법
5-1. 암모니아 급상승 (NH3/NH4+)
- 즉시 30~50% 환수 + 염소중화제(암모니아 결합 기능 포함) 투입.
- 여과기 유량 최대화, 에어레이션 강화.
- 제올라이트 임시 사용(과다 사용·장기 방치는 주의).
- 사체/사료 제거, 급여 중단 24~48시간.
- 신규 세팅(사이클 미완)이라면 생물부하 축소 및 박테리아 스타터 고려.
5-2. 아질산 상승 (NO2-)
- 부분 환수 반복으로 희석 + 강한 에어레이션.
- 염분 0.1~0.3% (어종 허용 범위 내)는 메트헤모글로빈 형성 완화에 도움. 새우·수초 민감 주의.
- 필터 박테리아 보존 최우선. 여과재 세척 최소화.
5-3. 질산 고농도 (NO3-)
- 연속 부분 환수(하루 20~30%씩 2~3일).
- 급여 절감·생물 수 조절·바닥청소 강화.
- 장기적으론 수초/여과 용량 증설·정기 유지관리.
5-4. 산소 부족
- 수면 교반 극대화: 에어스톤 추가, 출수 위치 위로.
- 수온을 1~2℃ 낮추면 용존산소 상승(급하강 금지).
- 야간 호흡 급증 시 조명/이산화탄소 주입 시간 조정.
5-5. pH 급변/산성화
- 급격한 완충 보정은 금지. 소량씩 단계적 환수.
- KH(알칼리도) 낮음이 원인인 경우 소량 탄산염 완충 활용(제품 지침 준수).
- CO2 과주입·침전물(유기산) 원인 제거.
5-6. 탁수/우유빛 (박테리아 블룸)
- 여과기 용량·유량 강화, 과급여 중단.
- 부분 환수 + 활성탄·여과솜 임시 추가.
- 신규 세팅이라면 1~2주 안정화 관망(수치 정상 전제).
5-7. 독성물질 유입(세제·향수·에어 freshener·페인트 등)
- 즉시 대량 부분 환수(50%) + 활성탄/폴리필터 투입.
- 공기 중 분사 제품은 수조 근처 사용 금지. 뚜껑 닫기.
5-8. 여과기 정지/전원 차단
- 정지 시간 1시간 이상이면 여과재 내부 혐기화 위험. 재가동 전 수조물로 가볍게 헹군 뒤 가동.
- 정전 대비 배터리 에어펌프/UPS 고려.
5-9. 과밀·과다급여
- 개체 수 조절·급여량 절반으로 감축·금식일 운영(주 1회).
- 자동급식기 사용 시 타이머 재설정·분량 미세 조정.
5-10. 약욕/약품 후 쇼크
- 활성탄으로 잔류 성분 제거, 부분 환수 반복.
- 동반 생물(새우·달팽이) 민감도 확인 후 분리.
6) 안전한 환수 가이드
- 준비: 버킷/호스, 염소중화제, 온도계, 사이펀, 수질 테스트 키트.
- 온도 매칭: 기존 수온 대비 ±1~2℃ 이내. 급변 금지.
- 염소/클로라민 제거: 보충수에 먼저 중화제를 투입 후 잘 섞는다.
- 사이펀: 바닥 찌꺼기 위주로 천천히 흡출. 모래는 가볍게 표면만.
- 보충: 조류·유막 방지를 위해 출수는 수면을 흔들리게.
- 마무리: 환수 후 수치 재측정, 생물 행동 관찰, 기록.
한 번에 100% 환수는 pH/KH 쇼크 위험이 큽니다. 독성물질 대량 유입 등 특수 상황이 아니라면 지양하세요.
7) 필터 관리: 절대 하면 안 되는 것
- 비누/세제 사용 금지 — 잔류 독성.
- 수돗물로 고강도 세척 금지 — 염소가 박테리아를 전멸시킵니다.
- 여과재 일괄 교체 금지 — 교차 교체(한 번에 1/3 이내, 수주 간격).
- 유량 제로 운전 금지 — 정전 시 여과재는 수조물에 잠겨 있도록 보관.
8) 수질 비상 키트 구성
- 액상 테스트: 암모니아/아질산/질산/pH/KH.
- 강력 염소중화제(클로라민 겸용), 제올라이트, 활성탄.
- 에어펌프·예비 에어스톤·백업 히터, 배터리 에어펌프(정전 대비).
- 사이펀·그물망·집게, 생체 격리용 부화통/세이프박스.
- 수초 전용가위·핀셋, 장갑, 전용 버킷(가정용과 분리).
9) 7일 회복 플랜
날짜 | 할 일 | 기대 결과 |
---|---|---|
Day 1 | 30~50% 환수, 급여 중단, 에어레이션 강화, 활성탄/제올라이트. | 독성 즉시 희석, 호흡 안정. |
Day 2 | 수치 재점검, 필요 시 20~30% 추가 환수. | NH3/NO2 하락 추세. |
Day 3 | 소량 급여 재개(1~2분 내 완식), 바닥청소. | 생물 스트레스 완화, 오염 최소화. |
Day 4 | 여과기 점검·유량 최적화, 여과솜 교차 교체(필요 시). | 박테리아 서식 안정. |
Day 5 | 수초 가지치기·부패 잎 제거. | 유기물 축적 억제. |
Day 6 | 테스트 기록 정리, 급여량 미세 조정. | 영양·수질 균형 회복. |
Day 7 | 소규모 환수(15~20%), 장비 청결 점검. | 안정 상태 락인. |
10) 재발 방지 체크리스트
- 주 1회 20~30% 환수 + 바닥 사이펀.
- 급여: 하루 1~2회, 1~2분 내 완식량 유지. 금식일 도입.
- 여과 점검: 유량·소음·임펠러, 스펀지 세척은 수조물로.
- 테스트 루틴: 최소 주 1회 NH3/NO2/NO3/pH.
- 과밀 방지: 생물 추가 전 여유 여과용량 확보.
- 스프레이·세제·담배 연기 수조 근처 금지.
11) 자주 묻는 질문(FAQ)
Q1. 수질이 나쁜데 물을 다 갈아버리면 빠르게 해결되나요?
대부분의 경우 권장되지 않습니다. pH/KH 급변과 온도 쇼크로 더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단계적 부분 환수로 안전하게 낮추세요.
Q2. 여과재를 전부 새것으로 바꾸면 깨끗해지지 않나요?
여과재에는 유익한 박테리아가 삽니다. 일괄 교체 금지. 교차 교체로 서서히 바꾸세요.
Q3. 물이 우유빛인데 수치가 정상이면 그냥 둬도 되나요?
신규 세팅에서 흔한 박테리아 블룸일 수 있습니다. 과급여를 중단하고 여과·유량을 강화해 자연 안정화를 기다리세요.
Q4. 아질산이 높을 때 소금은 꼭 넣어야 하나요?
소량 염분은 아질산 독성 완화에 도움되지만 어종·수초 민감도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새우·달팽이는 특히 주의.
Q5. 활성탄은 계속 넣어두면 좋은가요?
응급 상황·약품 제거에는 유용하지만 장기 사용 시 흡착 포화·영양 불균형이 올 수 있습니다. 상황 해소 후 제거하세요.
Q6. 정전이 잦아요. 무엇을 준비할까요?
배터리 에어펌프, UPS, 여과기 예비 스펀지, 보온 커버를 비치하세요. 정전 시 산소 공급이 최우선입니다.
12) 트러블슈팅 로그 템플릿
시간 | 측정치 | 조치 | 관찰 |
---|---|---|---|
예: 10:10 | NH3 0.5 / NO2 0.2 / NO3 40 / pH 6.6 / 26℃ | 급여중단, 에어레이션 강화, 40% 환수, 중화제 투입 | 수면부상 완화 |
예: 11:00 | NH3 0.2 / NO2 0.1 / NO3 30 / pH 6.8 / 26℃ | 활성탄 투입, 바닥청소 | 혼탁 약간 감소 |
예: 20:00 | NH3 0 / NO2 0.05 / NO3 25 / pH 6.9 / 26℃ | 20% 환수 | 호흡 정상화 |
경고: 비누·세제와 가정용 화학제품은 수조 장비에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마무리 한 줄 요약
산소 공급 → 부분 환수 → 박테리아 보존 → 원인 제거 → 기록/예방 — 이 순서를 기억하면 대부분의 수질 악화를 안전하게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