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초기비용(설비)→감가상각→월별 고정비+변동비로 나누어, 예시(소형·중형·대형 수조)를 통해 월별 유지비를 계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안내합니다.
목차
1. 비용 항목 (한눈에)
열대어 수조의 비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초기비용(일회성): 수조, 여과기, 히터, 조명, 바닥재, 장식(돌·목재), 수초, 테스트 키트, 네트·사이펀 등
- 월별 유지비(반복): 사료, 전기요금, 수처리제(콘디셔너), 테스트 용품(시약/테스트지), CO₂/비료(수초 사용 시), 소모성 약품·응급치료비, 물 사용료 등
추가 비용으로 생물 구입비(물고기·새우 등)와 예비여과재·교체용 히터, 조명 교체비가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항목별로 감가상각(월 할부)을 적용해 초기비용을 월별로 환산합니다.
2. 계산 원리 & 공식
가장 중요한 공식은 월 감가상각입니다.
예: 수조 30,000원, 감가연수 5년 → 30,000 ÷ (5×12) = 500원/월
총 월별비용 = 모든 항목의 월감가 합계 + 월별 반복비용 합계
3. 예시 계산 (실제 숫자)
아래 예시는 가정 값(전기요금: 200원/kWh, 조명·히터 사용 시간 등)을 사용했습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값(전기요금, 사용시간, 장비 수명)을 바꿔 계산하세요.
3-1. 소형 수조 (약 20L) — 빠른 요약
항목 | 비용 | 감가연수(년) | 월감가 |
---|---|---|---|
수조(유리) | 30,000원 | 5 | 500원 |
여과기(스펀지형) | 25,000원 | 3 | 694원 |
히터 | 15,000원 | 3 | 417원 |
조명 | 10,000원 | 3 | 278원 |
바닥재(자갈) | 15,000원 | 3 | 417원 |
테스트 키트 | 25,000원 | 2 | 1,042원 |
악세사리(네트 등) | 12,000원 | 3 | 333원 |
수초·장식 | 20,000원 | 2 | 833원 |
어종(초기 구입) | 15,000원 | 1 | 1,250원 |
모든 월감가 합계: 5,764원
월별 반복비 항목 | 월평균(추정) |
---|---|
사료 | 5,000원 |
전기료(필터24h, 히터8h, 조명8h) | 2,160원 |
물 사용/수도비 | 1,000원 |
수처리제(콘디셔너)·소모품 | 1,000원 |
테스트지/소모품 | 500원 |
비료/치료비 예비 | 3,160원 (비료 2,000 + 응급·예비 1,000) |
월별 반복비 합계(예시): 12,660원
따라서 총 월 비용(예시): 18,424원
3-2. 중형 수조 (약 60L)
항목 | 비용 | 감가연수(년) | 월감가 |
---|---|---|---|
수조 | 60,000원 | 5 | 1,000원 |
여과기(중급) | 50,000원 | 3 | 1,389원 |
히터 | 25,000원 | 3 | 694원 |
조명 | 30,000원 | 3 | 833원 |
바닥재 | 40,000원 | 3 | 1,111원 |
수초·장식 | 50,000원 | 3 | 1,389원 |
테스트 키트 | 30,000원 | 2 | 1,250원 |
악세사리 | 20,000원 | 3 | 556원 |
어종(초기) | 40,000원 | 1 | 3,333원 |
모든 월감가 합계: 11,556원
월별 반복비 항목 | 월평균(추정) |
---|---|
사료 | 8,000원 |
전기료(필터/히터/조명) | 4,560원 |
수처리제·테스트·비료 등 | 11,560원 (물 2,000 + 콘디셔너2,000 + 테스트1,000 + 비료3,000 + 예비2,000) |
월별 반복비 합계(예시): 22,560원
따라서 총 월 비용(예시): 34,116원
3-3. 대형 수조 (약 200L)
항목 | 비용 | 감가연수(년) | 월감가 |
---|---|---|---|
수조(대형) | 350,000원 | 10 | 2,917원 |
여과기(고성능) | 150,000원 | 5 | 2,500원 |
히터 | 45,000원 | 5 | 750원 |
조명 | 80,000원 | 5 | 1,333원 |
바닥재 | 80,000원 | 5 | 1,333원 |
CO2 시스템 | 120,000원 | 3 | 3,333원 |
수초·장식 | 100,000원 | 3 | 2,778원 |
테스트 키트 | 50,000원 | 2 | 2,083원 |
악세사리 | 50,000원 | 5 | 833원 |
어종(초기) | 100,000원 | 1 | 8,333원 |
모든 월감가 합계: 26,194원
월별 반복비 항목 | 월평균(추정) |
---|---|
사료 | 20,000원 |
전기료(필터/히터/조명) | 11,520원 |
수처리제·테스트·CO2·비료 등 | 29,000원 (물5,000 + 콘디셔너3,000 + 테스트2,000 + CO2 보충5,000 + 비료5,000 + 예비3,000) |
월별 반복비 합계(예시): 54,520원
따라서 총 월 비용(예시): 80,714원
4. 비용 절약 팁 & 유지관리 체크리스트
- 초기비용 절약: 중고 수조·여과기 검색, DIY 바닥재·장식 활용.
- 전기요금 낮추기: LED 조명 사용, 히터 절전 온도 설정, 타이머로 조명 시간 조절.
- 사료 최적화: 과잉급여 금지 — 남는 먹이는 수질 악화로 이어짐.
- 정기 점검: 필터 매체 교체주기(제품별 권장), 히터 정상 작동 확인, 물갈이 스케줄 기록.
- 비상 예산: 병충해 발생 시 치료비용을 위해 월 3,000~5,000원은 예비비로 확보.
5. 자주 묻는 질문
Q1.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지 않나요?
→ A: 가정용 소형 수조는 필터와 조명, 히터 사용시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위 예시는 200원/kWh
가정입니다. 실제 요금은 전기요금 고지서를 확인해 계산하세요.
Q2. 식물(수초)이 많으면 비용이 더 들까요?
→ A: 수초가 많으면 CO2·비료·조명 투자와 유지비가 추가됩니다. 하지만 안정된 생태계를 만들면 장기적으로 물갈이·질병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작성자 주: 본 글의 모든 수치는 예시용이며, 장비·전기요금·사용패턴에 따라 큰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견적을 원하시면 위 표의 항목을 사용자 수치로 변경해 계산하세요.